반응형
힙합 비트는 노래 전체를 지탱하는 메인 테마가 계속해서 반복되는 룹 형태를 주로 취한다.
그러므로 주로 2~4마디 길이의 메인 테마를 얼마나 짜임새 있게 구성하느냐가 관건이다.
유튜브에서 많은 프로듀서들이 자기들만의 비트메이킹 노하우를 공개하는 영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그 영상들을 보고 나름대로 이해하고 분석해서 정리한 내용을 올려본다.
비트메이킹 순서 (코드 진행으로 시작하는 경우)
1. 메인 테마와 곡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코드 진행을 먼저 짠다.
2. 해당 코드 진행에 맞는 멜로디를 추가한다 (메인 멜로디와 메인 멜로디를 서포트하는 카운터 멜로디를 추가).
3. 드럼 라인을 추가한다 (킥, 스네어, 하이햇, 심벌, 퍼커션 등등).
4. 베이스 라인을 추가한다.
5. 마지막으로 곡의 포인트를 주고 버스와 코러스 사이의 트랜지션을 살려주는 FX(효과음)를 추가한다.
6. 메인 테마를 중심으로 인트로, 버스, 코러스, 브릿지, 아웃트로 등을 어레인지 하면서 전체 비트를 완성시킨다.
*위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비트메이킹 방법 중 하나다. 많은 프로듀서들이 이러한 순서로 작업을 한다. 물론 이것은 수많은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자기 자신에게 가장 편하고 잘맞는 작업 방법을 찾아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비트메이킹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퍼런스의 중요성 (0) | 2019.10.24 |
---|---|
비트메이킹 방법 연구 (4) - 메트로부민 타입 비트 만드는 법 (0) | 2019.10.23 |
비트메이킹 방법 연구 (3) - SCREAMO 트랩 비트 만드는 법 (0) | 2019.10.22 |
비트메이킹 방법 연구 (2) - ARP와 VOX 활용 (0) | 2019.10.21 |
"트랩의 대부" 프로듀서 Zaytoven (제이토벤) 스타일 분석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