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를 만들때 바로 영감이 와서 정확하게 뭘 만들고 싶은지가 머리속에 그려지면 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된다.
하지만 프로듀서들이 항상 그런 영감을 받는 것은 아니다.
-레퍼런스를 선정하는 것의 장점은 정확하게 어떤 방향으로 비트를 만들어야겠다는 방향 설정이 확실하게 된다는 점이다. 참고로 비트 제작 문의도 보통 레퍼런스와 함께 오는 경우가 많다.
-레퍼런스가 있으면 먼저 레퍼런스의 BPM, 코드 진행, 멜로디, 악기, 분위기, 사운드 등 주요 구성 내용을 분석한다.
-레퍼런스의 주요테마를 (4~8마디) 최대한 비슷하게 카피를 해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다 (카피할 때 사운드를 최대한 비슷하게 만들어 본다). 그렇게 카피를 해보면 레퍼런스가 어떤 요소 때문에 그런 사운드, 분위기가 나는지 알게 된다.
-레퍼런스의 코드 진행이나 주요 멜로디, 특정 사운드 등을 참고해서 자기 비트를 만든다.
-레퍼런스의 바이브 (분위기)를 비슷하게 구현 하는게 키 포인트.
*요약: 레퍼런스 선정 -> 주요 테마 카피 및 분석 -> 자신의 색깔을 얹어 비트를 완성한다.
반응형
'비트메이킹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랩이란? 트랩 뜻? 트랩 음악이 도대체 뭐지? (1) | 2019.10.26 |
---|---|
레퍼런스로 비트 만들기 (기리보이 - "Stone") (0) | 2019.10.25 |
비트메이킹 방법 연구 (4) - 메트로부민 타입 비트 만드는 법 (0) | 2019.10.23 |
비트메이킹 방법 연구 (3) - SCREAMO 트랩 비트 만드는 법 (0) | 2019.10.22 |
비트메이킹 방법 연구 (2) - ARP와 VOX 활용 (0) | 2019.10.21 |